전체메뉴보기
홈페이지의 모든 메뉴를 살펴 보실 수 있는 사이트 맵 입니다.
투고안내

본회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고자 하는 회원께서는 언제든지 연구소 간사에게 원고를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학술지 발간 및 논문 접수 마감 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일정을 참고하시어 원하시는 시기에 심사를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발간호 논문접수 마감일 발간 예정일
1호 9월 15일 10월 31일

 

 

원고 투고

1. 논문의 종류

본 학회지에 게재 가능한 논문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종설

2) 양적연구

3) 질적연구

4) 기타: 개념분석, Q방법론적 연구, 메타분석 등

2. 석,박사 학위 논문의 경우 반드시 학위논문임을 명시하여야 하며, 학위논문의 제1저자는 학위수여자여야 한다. 학위논문(석사,박사)의 경우는 학위수여자 외에 지도교수 1인에 한하여 공동 혹은 교신저자로 허용한다.

3. 원고의 접수는 수시로 하며 이메일 또는 온라인으로 투고한다.

1) 전인간호과학연구소에 접속하여 투고하며, 투고할 때 자가 점검사항을 기입한다.
단, 투고 논문이 도구개발연구일 때에는 원고 외에 부록으로 개발한 한글도구를 첨부하고, 메타분석 또는 체계적 고찰인 경우에는 부록에 최종 분석대상 논문의 리스트를 첨부한다.

2) 논문게재가 확정되었을 경우 모든 공저자의 성명과 주민등록번호를 기록하고 서명한 ‘저작권 이양 동의서’를 전인간호과학연구소 출판담당자에게 팩스(Fax: 990-3970)나 이메일로 제출한다.

3. 본 투고규정에 준한 원고만을 접수하며, 일단 접수된 논문은 특별한 이유 없이 저자를 바꾸거나, 추가 또는 제외할 수 없다.

 

 

원고 작성

<일반사항>

1. 원고는 맞춤법에 맞게 한글원고의 경우 본문은 한글로 작성하고, 초록은 영문으로 작성한다. 영문 원고의 경우에는 분문과 초록 모두 영문으로 작성한다.

2. 원고분량

한글의 경우 본문을 기준으로 15페이지 이하(초록,참고문헌,표,그림,부록은 제외)를, 영문의 경우 본문만 6,000단어 이하(초록,참고문헌 목록,표, 그림,부록은 제외)를 원칙으로 한다.

3. 원고편집

A4용지에 위쪽30mm,아래쪽25mm,왼쪽25 mm,오른쪽25 mm로 여백을 설정한다. 한글 원고를 작성할 때에는 한글 프로그램이나 MSwor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영문 원고를 작성할 경우 MSword를 사용한다.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할 경우 서체는 신명조, 글자크기는 10포인트, 줄 간격은 1.5줄로 작성하며 영문서체는 Times new Roman, 글자크기는 12포인트, 줄 간격은 2줄로 작성한다.

4. 학술용어

학술용어는 간호학 표준용어집(한국간호과학회) 및 대한의사협회 발행, 의학용어(5집 수정판)에 수록된 것을 준용한다.

5. 약어용어

영문 약자를 사용할 때는 처음 사용할 때에 단어 전체를 표기하고 괄호 안에 약어를 제시한다. 단, 논문제목에는 약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6. 표준약어와 단위

Citing medicine: The NLM(National Library of Medicine)Style Guide for Authors, Editors, and Publishers 제2판(2007)을 참고한다.

7. 띄어쓰기

괄호()를 사용할 때의 띄어쓰기는 괄호()앞에 영문이나 숫자가 올 때는 띄어 쓰고, 국문이 올 때는 붙여서 쓴다. 괄호()다음에 오는 조사는 붙여서 쓴다.

8. 연구 도구의 사전승인

논문에서 사용하는 연구 도구는 도구 개발자의 승인을 받아서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9. 기기 및 장비의 표기

기계 및 장비의 경우 괄호() 안에 모델명,제조회사,도시(주),국적을 기재하고, 상품명을 뜻하는 TM, ® 등은 꼭 필요한 경우에만 표기한다.

 

 

원고의 구성

1. 원고는 겉표지, 논문제목, 영문초록, 본문, 참고문헌, 표,그림의 순으로 구성하며, 각각은 별도의 페이지로 시작한다.

2. 겉표지는 온라인논문투고시스템의 ‘겉표지 작성요령’을 확인하여 모든 사항을 반드시 기재한다.

3. 영문초록

Purpose, Methods, Results, Conclusion으로 구분하여 줄을 바꾸지 않고 연결하여 200 단어 이내(제목과 저자명을 제외하고)로 기술한다. 원고의 내용에 부합하는 영문 주요어(Key Words)는 5개 이내를 영문초록 다음에 첨부하며, MeSH (www.nlm.nih.gov/mesh/MBrowser.html)에 등재된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본문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이해관계, 감사의 글, 참고문헌의 순으로 구성한다. 단, 질적 연구의 경우 그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1) 서론: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간결하고 명료하게 제시하며, 배경에 관한 기술은 목적과 연관이 있는 내용만을 포함한다.

2) 연구방법: 연구설계, 연구대상, 연구도구,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 등을 순서대로 소제목으로 나누어 기술한다. 연구방법은 구체적이면서도 자세히 기술하여 재현이 가능하도록 하되 이미 잘 알려져 있는 방법인 경우에는 참고문헌만을 제시하며, 새로운 방법이거나 기존의 방법을 변형한 경우에는 상세히 기술한다.

3) 연구결과: 처리된 결과를 중심으로 명료하고 논리적으로 기술하며 도표에 있는 모든 자료를 본문에서 중복하여 나열하지 말고 중요한 결과만 요약하여 적는다.

4) 논의: 연구결과에서 중요하거나 새로운 소견을 강조하고 서론과 결과에서 언급된 것을 중복하여 기술하지 않는다. 관련된 선행연구 결과와 연관하여 연구 결과를 해석하며 결과의 적용, 제한점, 제언 등을 기술한다.

5) 결론: 연구목적과 연관하여 최종 결론만을 간략히 기술하며 연구 방법이나 결과 등을 반복기술하지 않는다.

6) 이해관계: 해당논문에 대한 이해관계를 명시하여야 하며, 영문으로 표기한다.

예)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7) 감사의 글(필요 시): 공동저자 이외의 기여자에 대한 감사의 내용을 기재하며, 영문으로 표기한다.

 

<표(Table), 그림(Figure), 사진(Picture)>

1. 표, 그림, 사진은 영문으로 작성하고, 5개 이내를 원칙으로 하며, 표와 그림의 내용이 중복되지 않도록 한다. 표와 그림은 각각 별도의 페이지에 배치한다. 단, 질적 연구의 경우, 영문으로는 표나 그림의 의미전달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 편집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문으로 표기할 수 있다.

2. 표, 그림, 사진의 내용은 이해하기 쉽고 독자적 기능을 할 수 있어야 한다.

3. 표 작성 원칙

1) 모든 선은 단선(single line)으로 하고, 중선(세로줄)은 사용하지 않는다.

2) 표의 제목은 표의 상단에 위치하며, 접속사, 관사, 전치사를 제외한 각 단어의 첫 자를 대문자로 한다.

3) 표는 본문에는 인용되는 순서대로 번호를 붙인다.

4) 표의 내용 중 설명이 필요한 경우 각주에서 설명한다. 표에서 사용한 비표준 약어는 모두 표의 하단 각주에서 설명한다.

예: HR=Heart rate; T=Temperature.

5) 각주는 위첨자 형태의 기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며, 기호의 순서는 †, ‡, §, ‖, ¶ , ⧣, ††로 한다.기호로 제시된 내용의 설명은 표의 좌하단에 제시한다.

예: †Survival case;‡Dead case

단, p값(유의확률)의 경우에는 각주를 사용하지 않고 실제 p값을 기재한다. p값이 .000이거나 1.000인 경우에는 각각 p<.001, p>.999로 표기한다. 간혹 각주를 사용해 p값을 제시해야 하는 경우에는, *, **를 사용한다.

예: *p<.05, **p<.01

6) 모든 숫자 값은 소수점 2자리까지 기재한다. 단, p(유의확률)는 소수점 3자리까지, 백분율(%)은 소수점 1자리까지 기재한다.

7) 소수점은 그 숫자 값이 ‘1’을 넘을 수 있는 경우에는 소수점 앞에 ‘0’을 기입하고, ‘1’을 넘을 수 없는 경우에는 소수점 앞에 ‘0’을 기입하지 않는다.

예: t=0.26, F=0.92
예: p<.001, r=.41, R2=.61

4. 그림과 사진 작성 원칙

1) 그림 제목은 그림의 하단에 위치하며, 첫 자만 대문자로 한다.

예: Figure 1. Mean responses to questions by student grade categories.

2) 사진의 크기는 102×152mm(4×6인치) 이상이어야 하고 203×254mm(8×10인치)를 넘지 않아야 한다.

3) 동일 번호에서 2개 이상의 그림이 있는 경우, 아라비아 숫자 이후에 알파벳 글자를 기입하여 표시한다.

예: Figure 1-A, Figure 1-B

4) 조직 표본의 현미경 사진의 경우 조직부위명, 염색 방법 및 배율을 기록한다.

5) 그래프에 쓰이는 symbol은 ●, ■, ▲, ◆, ○, ☐, △, ◇의 순서로 작성한다.

 

<본문 내 문헌의 인용>

1. 문헌의 인용은 아래의 예를 참고하여 모두 영문으로 하되, 이 예에 표함되지 않은 경우는 Citing Medicine: The NLM(National Library of Medicine) Style Guide for Authors, Editors, and Publishers 제2판(2007) (http://www.nlm. nih.gov/citingmedicine)에 따른다.

2. 본문 내에서 다른 저자가 같은 내용에서 인용될 때는 인용순서에 따라 번호를 붙인다.

예: 스트레스 관리[1], 간호중재[2,3], 중환자 간호[4-6], 우울 간호[7-9,11,13]

3. 본문에 문헌을 인용한 경우 문헌인용 순서에 따라 숫자로 각괄호[ ]안에 기입한다.

4. 참고문헌이 본문에서 계속 인용될 경우 같은 번호를 사용한다.

5. 동시에 여러 개의 번호가 들어갈 경우에는 ‘,’로 구분하고, 연속된 번호를 기입하는 경우에는 ‘-’로 표시한다.

예: 스트레스 관리[1], 간호중재[2,3], 중환자 간호[4-6]

 

<참고문헌 목록>

1. 참고문헌은 모두 영어로 표기하되, 영문명이 명확하지 않은 학술지는 인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본문에 인용된 문헌은 반드시 참고문헌 목록에 포함되어야 한다.

3. 참고문헌은 30개 이하로 하고 본문번호 순서에 따라 번호를 기입하여 나열한다.

4. 디지털 학술정보의 용이한 활용, 검색의 효율성 도모, 인용 활성화를 위해 DOI(Digital Object Identifier)를 서지사항 마지막 부분에 기재한다. http://www.crossref.org에서 DOI번호로 문헌을 검색할 수 있다.

 

[보기]

1. 정기간행물

논문 제목의 처음 글자와 고유명사 이외는 소문자로 기입하고, 부제의 처음 글자는 소문자로 기입한다.
학술지명의 단어마다 첫 자를 대문자로 표기하고, 전체 학술지명을 쓴다.

1) 학술지

저자명. 논문명. 학술지명. 출판연도;권(호):시작페이지-마지막 페이지. DOI 순으로 기재한다.

예: 저자가 6인 이하인 경우
Cho HO, Yoo YS, Kim NC. Efficacy of comprehensive group rehabilitation for women with early breast cancer in South korea. Nursing & Health Sciences. 2006; 8(3):140-146. http://doi.org/10.1111/j.1442-2018. 2006. 00271.x

예: 저자가 7인 이상인 겨우
Bang KS, Kang JH, Jun MH, Kim HS, SonHM, Yu SJ, et al. Profeesional values in Korea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2011;31(1):72-75. http://doi.org/10.1016/j.nedt.2010.03.019

2) 출판 중인 학술지의 논문

저자명. 논문명. 학술지명. Forthcoming. 지면 출간예정연월일. 순으로 기재한다.

예: 지면 출간일을 아는 경우
Heale R, Dickieson P, Carter L, Wenghofer EF. Nurse practitioners’ perceptions of interprofessional team functioning with implications for nurse manager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Forthcoming 2013 May 9.

예: 지면 출간일을 모르는 경우
Scerri J, Cassar R, Qualitative study on the placement of Hunting disease patients in a psychiatric hosptla: Perceptions og maltese nurses. Nursing & Health Sciences. 2013. Forthcoming.

3) 잡지기사

저자. 잡지기사명. 잡지명. 연도 날짜;Sect. 란. 순으로 기재한다.

예: Rutan C. Creating healthy habits in children. Parish Nurse Newsletter. 2012 May 15;5-6.

4) 신문기사

기자. 기사명. 신문명. 연도 날짜;Sect. 란. 순으로 기재한다.

예: Cho C-u. Stem cell windpipe gives Korean toddler new life. The Korea Herald. 2013 May 2;Sect. 01.

 

2. 저서

1) 단행본

저자. 도서명. 판차사항. 출판도시: 출판사; 출판연도. 페이지 수p. 순으로 기재한다.

예: Peate I. The student’s guide to becoming a nurse. 2nd ed. Chichester WS: John Wiley & Sons; 2012. 660 p.

예: Min KA, MIN CG. Nursing management. Jeonju: Knowledge & Future; 2012. 202 p.

2) 단행본 내의 한 장(chapter)

장(chapter) 저자. 장(chapter) 제목. 출판도시: 출판사; 출판연도. 페이지 p. (편저자, editor(s). 단행본명). 순으로 기재한다.

예: Miller CW. Applide cardiovascular physiology. Stuttgart: Thieme; 2000. 285 p. (Wingfield WE, Raffe M, editers. The veterinary ICU).

3) 편저

편저자, editor(s). 서명. 출판지: 출판사; 연도. 순으로 기재한다.

예: Curley MAQ, Moloney-Harmon PA, Editors. Critical care nursing of infants and children. Philadelphia, PA: W.B. Saunders Co.; 2001.

4) 저자나 편집자가 없는 경우

서명. 판차사항. 출판지: 출판사; 연도. 순으로 기재한다.

예: Resumes for Nursing Careers. New York, NY: McGraw Hill Professional; 2007.

5) 백과사전, 사전

(편)저자. 사전명. 판차사항. 출판지: 출판사; 연도. 순으로 기재한다(편저자의 경우 기재방식에 유의해서 작성).

예: Snodgrass, Mary Ellen. Historical encyclopedia of nursing. Dardy, PA: Diane Publishing Company; 2004.

예: Fiitzpatrick JJ, Wallave M, editors. Encyclopedia of nursing research. 3rd ed.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12.

6) 번역된 책

원저자. 번역서명. 판차사항. 역자. 출판지: 출판사; 연도. 페이지 순으로 기재한다.

예: Stuart G. Principles and practice of psychiatric nursing. 9th ed. Kim KH, Ko SH, translator. Philadephia, PA: Mosby; 2008.

 

3. 연구보고서

저자. 보고서 제목. 보고서 유형. 출판지: 기관 (대학); 출판일. 보고서 번호. 순으로 기재한다.

예: Perio MA, Brueck SE, Muller CA. Evaluation of 2009 pandemic influenza A (H1N1) virus exposure among internal medicine housestaff and fellows. Health Hazard Evaluation Report. Salt Lake City: Utah School of Medicine; 2010 October. Report No. HETA 2009- 0206-3117.

 

4. 학위논문

학위논문은 가급적 인용하지 않도록 하며, 단 필요한 경우 전체 인용문헌의 10%를 넘지 않는다.
저자. 논문명: 부제[학위 유형]. [소재지]: 수여기관명; 수여일자. 페이지 수 p. 순으로 기재한다.

1) 박사학위 논문

예: Jin HY. A study on the analysis of risk factors and characteristic for nosocomial infection in intensive cure unit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5. 276 p.

2) 석사학위 논문

예: Kim JS. A study on fatigue, stress and burnour of pregnancy nurses [master’s thesis]. [Gwan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2. 111 p.

 

5. 학술회의나 심포지엄의 자료(Proceedings)

1) 미출간 구두발표자료(Oral session)

저자.발표제목.Paperpresentedat:학술대회명;학술대회일시;학술대회장소.학술대회지명.순으로 기재한다.

예: Bryar R. The primary health care workforce development roadmap. paper presented at: The public health nursing contribution to primary health care 3rd International public health nursing conference;2013August25-1;Nursing University of Ireland Galway(NUIG).Galway.

2) 미출간 포스터 발표자료(Poster Session)

저자.Poster제목.Poster session presented at:학술대회명;학술대회일시;학술대회장소.학술대회지명. 순으로 기재한다.

예: BigbeeJ. Promoting the health of the population: Public health nursing leading the way.Poster session presented at:The public health nursing contribution to primary health care 3rd International Public health nursing conference; 2013 August 25-1;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NUIG). Galway.

3)출간 발표자료

저자.제목.학술대회명;학술대회일시;학술대회장소.학술대회지명:출판사;출판연도.p.페이지.순으로 기재한다.

예: Bell JM.Highlights from the 10th international family nursing conference. Making family nursing visible: From knowledge building to knowledge translation 10th international family nursing conference; 2011 June 24-28; Kyoto International Conference Center. Kyoto: Sage Publications; 2013. p. 135-139.

 

6. 전자저널, Web자료

저자. 논문명. 연속간행물명. 출판연도;권(호):페이지수.Availablefrom:URI.순으로 기재한다.
저자. 논문명. 연속간행물명[자료유형].출판연도[인용일자];권(호):페이지수.Availablefrom:URI.순으로 기재한다.

예: Wilcox LS. 2010 life tables foe Korea. Biol Proc Online [Internet]. 2005 [cited 2007 Jan 5]; 8(1):194- 215.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 kor_nw/3/index.board?bmode=read &aSeq=252533

 

7. 이차 자료에서의 인용

이차 자료는 일차 자료를 찾을 수 없는 불가피한 상황에서만 사용하고, 일차자료에서 인용되었음을 참고문헌에 밝힌다.

예: GordisE.Relapse and craving:A commentary.Alcohol Alert.1989;6:3. Cited by Mason BJ, KocsisJH, Ritvo EC, Cutler RB. A double-blind, placebo controlled trial of desipramine for primary alcohol dependence stratifi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jor depression, JAMA. 1996;275:761-767.

 

게재료 납부 통장 계좌 번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세한 문의는 연구소 간사에게 해주십시오.

ㆍ연구소 간사 박수현 : 010-5327-1720 / 218036@kosin.ac.kr

ㆍ게재료 납부 : 신협 131-020-022797, 예금주 박정숙